MSA(Microservice Architecture)란 단어를 들은 후 궁금해서 검색해 본 적이 있습니다. 글로 개념은 알 것 같았지만 직접 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것들을 검색해보다 실습형의 무료 세미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영상 링크 세미나 목표 MSA와 Monolith의 차이점을 안다. Spring Cloud와 Netflix oss를 사용하여 실습해보면서 MSA를 간단하게 만들어본다. Circuit Breaker를 이해하고 Hystrix를 사용해본다. Client side Load Balancing을 이해하고 Ribbon을 사용해본다. Service registry를 이해하고 Eureka를 사용해본다. API Gateway를 이해하고 Zuul을 사용해본다. 후기 영상의 총 길이는 3시간 반정..
이번 포스팅은 객체지향 설계에 대해 고민하고 있을 때 좋은 참고가 된 세미나 내용에 대한 정리입니다. 유튜브에 1시간 40분 정도 길이의 영상이 있는데, 사실 이 영상을 3번째 보고 이제야 이해가 되어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 프로젝트와 여러 개념에 대해 더 알게 되면서 저도 성장했는지 매번 볼 때마다 이해도가 달랐습니다. 책도 그렇고 영상도 그렇고 사람은 아는 만큼 보인다고 볼 때마다 느끼는 점이 다른게 참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단순히 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포인트를 정리한 것입니다. 강의의 핵심인 의존성을 이용해 설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담기가 힘듭니다. 꼭 영상을 한번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목차 세미나 목표 클래스 의존성의 종류 의존성 사이클 협력 설계하기 Aggregate..